한강에 떠 있는 노들섬이 거대한 ‘보물섬’으로 둔갑했다. 3,500평 부지에 인디언 텐트 모양의 부스가 줄지어 들어섰고, 행사를 즐기는 뷰티팬들의 함성과 음악, 뜨거운 열기가 섬 전체를 채웠다. 놀이동산을 떠오르게 하는 이곳, 국내 최대 뷰티 행사인 ‘2025 올리브영 페스타’ 현장이다.
‘2025 올리브영 페스타’는 지난 5월 21일부터 25일까지 서울시 용산구 노들섬 일대에서 열렸다. 5일간 관람객 3만 3000명과 글로벌 바이어·인플루언서·K뷰티 산업 종사자 등 업계 관계자 3700여 명이 페스타 현장을 찾았다. 올리브영은 올해부터 페스티벌 무대를 실내에서 야외로 옮겼다. 그만큼 체험과 축제 요소가 강화됐다.

이번 페스타는 국내 뷰티 행사 사상 최대 규모로 열렸다. 팬덤이 두터운 인기 브랜드부터 새롭게 입소문을 타는 신규 브랜드까지, 총 108개 브랜드가 84개 부스를 차렸다. 입장권은 사전 예매 시작과 동시에 완판됐다.
뷰티 업계와 소비자들의 관심과 기대 속에 진행된 대한민국 최대 뷰티 페스티벌. 노들섬의 자연을 배경으로 펼쳐진 ‘2025 올리브영 페스타’ 현장에 CJ뉴스룸이 다녀왔다.
노들섬, ‘K뷰티 보물섬’ 되다!

‘2025 올리브영 페스타’의 컨셉은 보물섬이었다. ‘럭스에디트’ ‘스킨케어’ ‘색조 메이크업’ ‘헬스케어’ ‘퍼스널케어’ 5개 테마존이 각각 다이아몬드, 에메랄드, 루비, 사파이어, 자수정 테마로 꾸며져 K뷰티 보물섬으로 탐험을 떠나는 듯한 느낌을 주었다.
부스별로 이벤트와 체험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준비됐다. 슈팅 게임이나 공 굴리기 게임, 체력 테스트 등 다른 뷰티 박람회에서 보기 어려웠던 게임과 몰입형 콘텐츠들이 관람객들에게 새로운 재미를 선사했다. 부스 곳곳에서 즐거운 환호성과 함성이 끊이지 않았다.



올리브영은 야외에서 관람객들이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작은 디테일까지 세심하게 챙겼다.
우선 날씨가 더워져도 안전하게 페스티벌을 즐길 수 있도록 커다란 백팩과 물, 쿨시트, 우양산으로 구성된 ‘어드벤처 키트’를 제공했다. 행사장 곳곳에는 아이스존을 설치해 더위에 지친 관람객들이 언제든 시원한 물을 마실 수 있도록 했다.
저녁 시간 잔디광장에서 진행된 야외 문화 공연 프로그램 ‘올리브 그린 사운즈 with CJ문화재단’에선 CJ문화재단이 발굴하고 육성한 인디 뮤지션들의 야외 버스킹 공연이 펼쳐졌다. 잔잔하게 펼쳐지는 음악이 초여름 밤 축제 분위기를 한층 더 띄웠다.
‘올리브영 페스타’가 새롭게 만드는 뷰티 트렌드
2019년 시작한 ‘올리브영 페스타’는 소비자와 국내외 뷰티 업계를 잇는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고객들이 뷰티를 놀이처럼 즐길 수 있도록 K뷰티를 하나의 문화 콘텐츠로 만들어 새로운 트렌드를 제시했다.
이번 페스타에는 웨이크메이크, 마녀공장, 차앤박 등 올리브영 인기 브랜드부터 신생 브랜드까지 무려 108개 업체가 참여했다. 국내 뷰티 페스티벌 중 100개가 넘는 브랜드가 한자리에 모이는 건 ‘올리브영 페스타’가 유일하다. 다양한 브랜드와 뷰티 콘텐츠를 한 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어 관람객들의 현장 반응도 뜨거웠다.
평소 두피 관리에 관심이 많았다는 한 관람객은 “헤어 제품은 매번 다른 제품을 사서 테스트하기에 부담이 있는데 한 자리에서 다양한 제품을 체험할 수 있어 좋았다. 실제 구매에도 참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어드벤처 키트’로 받은 배낭을 가득 채울 만큼 풍성한 선물들도 큰 화제를 모았다. 샘플은 물론 본품을 무료로 나눠주는 부스도 적지 않았다. 블로그와 SNS를 통해 올리브영 페스타 부스별 증정품 정보와 효율적인 이동 동선이 담긴 ‘꿀팁’들이 공유되기도 했다.

방문객과 입점 브랜드, 모두의 마음을 사로잡은 뷰티 축제
새로워진 올리브영 페스타는 참여 브랜드에게도 좋은 기회가 됐다. 이번 페스타에 참여한 신생 뷰티 업체 관계자는 “오프라인 매장이 없어 고객과 가까이할 기회가 많이 없었는데, 올리브영 페스타를 통해 고객과 소통할 기회가 생겨 반갑다”며 “현장에서 만난 고객들의 피드백을 추후 신제품 출시에 반영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실제로 다수 브랜드에서 재출시 요청이 많은 단종 제품이나 출시 전 제품을 선보이며 고객들의 반응을 살피기도 했다.

이번 페스타는 특히 중소 브랜드들의 만족도가 높았다. 올리브영은 협력사 동반성장 프로그램 강연인 ‘퓨처 커넥트’를 통해 중소 브랜드에게 해외 진출 노하우를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하기도 했다. 미국, 일본, 홍콩, 동남아 등 글로벌 주요 플랫폼 관계자 약 400명을 초청해 올리브영에 입점한 중소 브랜드를 체험할 수 있도록 자리를 마련하고 K뷰티 산업에 대해 함께 이야기하는 시간도 가졌다.
해외 바이어들도 새로운 형식의 뷰티 페스티벌에 대해 신선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행사에 참여한 일본 뷰티 관계자는 “뷰티를 다양한 콘텐츠로 즐기는 모습이 굉장히 새롭고 흥미로웠다”며 “한국의 경쟁력 있는 신생 브랜드들을 다양하게 만나볼 수 있어 좋았다”고 방문 소감을 밝혔다.
3,500평에 달하는 한강 노딜섬
전역에 형형형색의 부스들이
가득찼습니다. 올해 처음으로 야외에서
열린 2025 울리형 페스타는
6회째를 맞아 역대 최대 규모로
꾸며졌습니다. 이번 페스타의 테마는
보물섬. 관람객들은 지도와 물,
배낭이 담긴 뷰티 어드벤처 키트를
들고 루비, 에메랄드, 자수정,
사파이어, 다이아몬드로 이름붙여진
다섯 개 존을 따라 보물 찾기 하듯
탐험에 나섭니다. 자연과 함께하는
노들섬에서 고객들이 좀 더 몰입감
있게 뷰티테인먼트 콘텐츠를 경험하실
수 있도록 올해는 야외에서 진행하게
됐습니다. 고객분들이 뷰티 탐험가가
되어서 다양한 뷰티앤헬스 보물들을 찾고
진정한 자신만의 뷰티앤헬스 루틴을
찾아가시길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번
페스타에는 108개 브랜드가
참여해 부스를
선부였습니다. 지난해 올리브형 어워즈
선정 브랜드 성장 가능성이 높은 인디
브랜드들도 만나볼 수 있어 더욱
풍성했는데요.
슬로우에, 루트 뷰티, 이너 뷰티까지
요즘 떠오르는 뷰티 키워드에 맞춘
트렌드 큐레이션 부스도 눈길를
끌었습니다. 브랜드도 되게 다양해서
더 너무 좋더라고요. 제가 몰랐던
제품들도 알아가고 또 제품들이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가니까 어
앞으로도 더 다른 브랜드도 알아보고
싶은 마음이 드네요. 궁금했던 제품을
직접 써 보기도 하고 내 피부 상태는
어떤지 진단도 받으며 다양한 체험에
나서는 관람객들, 고리 던지기,
스탬프 모으기 등 곳곳에서 펼쳐지는
미션 게임에도 참여하고 선물도
받아가며 축제를
만끽하는데요. 또 현장에서는 뷰티앤
헬스 정보를 공유하는 다양한 강연과
토크쇼 등이 진행되며 무리평 콘텐츠로
다체로움을 더했습니다.
오늘 보니까 되게 놀이 공원 같이
되어 있는 거 같고 되게 신기해요.
이번엔 축제처럼 밖에서 해서 즐기기도
좋고 좋은 추억 남기기도 좋은 거
같아요. 어느새 해가 뉘어뉘어지기
시작하자 보물섬이 빛나는 잔디
광장에서 특별한 무대가
펼쳐지는데요. CJ 문화재단의 인디
뮤지션 지원 프로그램 튜업 출신
뮤지션들이 선사하는 라이브 공연에
촉제 분위기는 고조되고 관람객들은
잠시 쉬어가며 음악에
빠져듭니다. 이름을 불러주
[음악]
지금 놀지는 거 보면 밖에서 하는 거
좋은 거 같은 거 보면서 좀 하다
보니까 좀 더 좋은 거 같습니다.
조용해. 특히 이번 올리브형
페스타에서는 약 200여의 입전
브랜드사에게 글로벌 진출 노하우를
전수하는 퓨처 커넥트 강연을
진행했는데요. 또 미국, 일본, 홍콩
등 글로벌 주요 유통 관계자
400여명을 초청해 입전 브랜드들의
경쟁력을 직접 체험하는 의미 있는
시간도
마련됐습니다. 고객에게는 뷰티앤
헬스의 특별한 경험을 브랜드사에게는
동반 성장의 기회와 울리브형
협력사로서의 위상을 선사할 수 있었던
2025 울리브형 페스타.
앞으로 진정한 의미의 K뷰티
페스티벌로 진화할 모습을 더욱더
기대해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