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PULAR NOW

01

‘맨즈 케어’로 남심 저격, 올리브영 홍대놀이터점 르포
2025.06.18

02

‘올영 모범생’ 토리든, 입점 5년 만에 메가브랜드로 성장한 비결
2025.06.24

03

[CGV아트하우스] 문학에서 영화로, 퀴어가 지나온 길
2025.06.23

04

미식의 도시 홍콩에 한식을 펼치다(feat. Cuisine.K x HANU)
2025.06.12

05

AI로 만든 애니·드라마… 글로벌 AI 스튜디오로 도약하는 CJ ENM
2025.07.04
립스틱 효과 이어 ‘작은 사치’로 선글라스 각광∙∙∙패션 업계 새로운 불황형 소비 상반기 선글라스 주문 고객 5만 명 이상 증가∙∙∙10만 원 미만 가성비 제품 인기 전국적 러닝 열풍에 스포츠 선글라스 주문액도 153%↑∙∙∙오클리, 나이키 등 강세 (왼쪽부터) 헌터(HUNTER) 아이웨어, VW베라왕 선글라스 화보.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작은 사치’로 자신을 꾸미려는 소비가 주목받고 있다. 고가 명품 대신 부담 없는 패션 아이템으로 기분을 낼 수 있는 선글라스가 주목받으며, 일명 립스틱 효과에 이은 ‘선글라스 효과’가 새로운 불황형 소비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 CJ온스타일은 올해 상반기(1~6월) 선글라스 주문액이 전년 동기 대비 44% 증가, 주문 고객 수도 5만 명 이상 늘었다고 9일 밝혔다. 경기 침체 속에서도 포기할 수 없는 패션 아이템으로 10만 원 미만의 가성비와 가심비를 잡은 선글라스가 부상했다는 분석이다. 패션 트렌드 변화도 한 몫 했다. 긱시크(Geek+Chic, 엉뚱하면서도 세련된 스타일) 트렌드가 유행하며, 선글라스를 활용해 개성을 표현하는 스타일링이 인기를 얻고 있다. 실제로 VW베라왕 선글라스는 상반기에만 약 150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대표 제품 ‘풀 티타늄 선글라스’는 라운드 디자인에 풀 티타늄 소재가 적용돼 10g대 초경량을 자랑하고, 네 가지 컬러와 9만 원대 가격으로 인기를 끌며 재구매율이 높았다. 오는 14일(월)과 25일(금) 앵콜 방송이 예정돼 있다. 영국 프리미엄 브랜드 헌터(HUNTER) 선글라스 역시 같은 기간 100억 원 이상의 판매고를 올리며 호실적을 올렸다. 한편 러닝 열풍에 자외선 차단 기능성을 갖춘 스포츠 선글라스 주문액도 같은 기간 153% 급증, 주문 고객 수도 4배 이상 늘었다. 오클리, 나이키, 아디다스 등 글로벌 브랜드들의 수요가 특히 높았다. CJ온스타일 관계자는 “고물가 시대, 작은 사치를 즐기려는 소비자들이 늘며 선글라스가 새로운 불황형 소비 트렌드로 부상했다”며 “특히 올 여름 역대급 폭염이 예고된 만큼 선글라스의 ‘여름 특수’도 기대된다”고 말했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