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PULAR NOW

01

[글로벌리포트] 베트남 역대 박스오피스 1위 ‘마이’, 이유 있는 성공
2024.04.03

02

[CGV아트하우스] 과거와 현재, 미래를 연결하는 ‘키메라’의 고고학적 상상력
2024.04.03

03

CJ ENM 엔터테인먼트 부문 2024 상반기 채용 직무 소개!
2024.03.20

04

[CJ뉴스룸X퍼블리] 93학번 시니어와 93년생 주니어가 바라본 ‘요즘’ 조직문화
2024.04.16

05

2024 채용, CJ올리브네트웍스 현직자에게 듣는 직무이야기
2024.03.22
가해자와 피해자. 절대 교차할 수 없고 벗어날 수 없는 위치에 고정된 두 인물이 사건 이후 15년 만에 재회한다. 관객은 당연히 과거의 사건이 어떻게 현재에 침투해 들어오고 어떻게 새로운 사건과 연결될지 기대한다. 이동윤 | 영화 평론가 툭하면 영화 보고 운다. 영화의 본질은 최대한 온몸으로 즐기는 것 영화 메인 포스터(출처: 네이버 영화) 하지만 이상일 감독은 그 기대감을 충족시키길 지연하며, 대신 두 인물이 주고받았던 과거의 감정과 현재의 감정에 오롯이 집중하길 요구한다. 민감한 소재들을 돌파하면서도 끝까지 인간 본연의 심리에 대한 질문을 놓치지 않는 <유랑의 달>을 좀 더 깊게 들여다본다. 소아성애자와 한 소녀에 관한 이야기 사라사 역의 ‘히로세 스즈’와 후미 역의 ‘마츠자카 토리’(출처: 네이버 영화) 15년 전의 사건 전말은 이러했다. 한 소녀가 실종되었고 한동안 찾을 수 없던 끝에 한적한 호수 공원에서 낯선 남자와 함께 있는 모습이 발견된다. 그 남자가 소아성애자임이 밝혀지며 남자는 가해자, 소녀는 피해자로 각인된다. 피해자인 소녀, 사라사는 15년이 흐른 뒤 결혼을 약속한 애인 류와 함께 안정된 삶을 살아간다. 하지만 사람들은 여전히 그녀를 과거 소아성애자에게 유괴당했던 소녀로만 기억할 뿐이다. 그러던 어느 날, 카페를 운영하는 가해자였던 남자, 후미와 우연히 재회한다. 이 순간부터 사라사는 과거의 시간 속으로 빨려 들어가 벗어날 수 없었던 피해자로서의 자신을 대면하고 후미의 곁을 맴돈다. 자신의 비밀을 고백한 후미 곁을 지키는 사라사(출처: 네이버 영화) 사회와 역사는 후미를 가해자로 기억하고 기록하지만, 사라사는 후미에게 씻을 수 없는 죄책감을 품고 있다. 사라사는 정작 그와 함께했던 시간을 자유가 충만했던, 자신으로 오롯이 살아갈 수 있었던 순간들로 기억하고 있기 때문이다. 경찰에게 이 사실을 충분히 진술하지 못해서 후미를 범죄자로 몰아넣어 버렸다고 자책하던 사라사에게 후미와의 재회는 과거를 바로잡을 소중한 기회다. 하지만 둘 사이에서 있었던 진실과는 상관없이 사회는 그들을 가해자와 피해자의 위치에서  벗어나지 못하도록 또다시 붙잡아 가둔다. <유랑의 달>은 과거의 편견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몸부림치는 사라사와 후미의 모습을 담담히 기록한다. 피해자와 가해자의 경계 선상에서 애인에게 폭행당한 사라사의 곁으로 다가가는 후미(출처: 네이버 영화) 정신의학에서 소아성애는 성 도착증의 한 형태로 분류하여 장애로 간주한다. 아동을 성적 대상으로 인식하는 성인은 위험한 존재임이 틀림없다. 보호가 필요한 아동을 성적으로 착취할 수 있는 가능성이 언제나 존재하기 때문이다. <유랑의 달>은 소아성애에 대한 논란을 끌고 들어오면서도 동시에 소아성애를 조금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도록 요구한다. 그런 감독의 도전이 때로는 혼란스럽고 버겁게 여겨지기도 한다. 하지만 인물들의 강렬한 욕망과 감정들에 서서히 젖어들다 보면 <유랑의 달>이 소아성애 소재를 통해서 말하고자 했던 것이 무엇인지를 깨닫게 된다. 베란다의 경계를 사이에 두고 대화를 나누는 후미와 사라사(출처: 네이버 영화) 대부분의 사건은 가해자와 피해자를 분명하게 구분 짓고 주장해야 한다. 저 자가 가해자라고, 저 자가 피해자라고 그 어느 때보다 강하게 외쳐 부르짖어도 사회가 그 목소리를 외면해버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와 반대로 <유랑의 달>은 가해와 피해의 경계를 불편할 정도로 애매모호하게 다룬다. 그 대신, 사회가 규정한 ‘가해자’와 ‘피해자’가 아닌, 가해자와 피해자로 ‘분류’된 당사자들의 시선과 목소리, 욕망에 집중한다. “나는 불쌍한 사람이 아니다”라는 사라사의 주장은 피해자에 대한 사회적 편견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몸부림치는 주인공의 심리를 잘 드러낸다. 어쩌면 우리는 사건 속의 사람들은 고려하지 않고, 무조건 사건만을 바라보며 모든 일들을 쉽게 판단해왔던 것은 아닐까? BL 작가와 재일 조선인 감독의 만남 어릴 적 사라사와 마지막 순간을 함께 했던 호숫가에 몸을 담그는 후미(출처: 네이버 영화) <유랑의 달> 원작자인 나기라 유는 2007년 『신부는 메리지 블루』로 데뷔했다. 이후 다수의 BL 소설을 집필하며 BL 장르에서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고, 2017년 발표한 『신의 비오톱』을 시작으로 『유랑의 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작품들을 선보이며 순수문학 작가로서 인정받았다. 나기라 유 작가의 소설을 영화화 한 이상일 감독은 재일 조선인 감독으로서 <훌라 걸즈>(2007)를 통해 일본 아카데미 시상식을 휩쓸고 <악인>(2011), <분노>(2017)와 같은 작품들을 선보이며 인간의 추악한 내면까지도 가감 없이 드러내고 표현하는 감독으로 각인되었다. 카페에서 재회하는 사라사와 후미(출처: 네이버 영화) <유랑의 달>은 BL 장르를 통해 소수자성을 탐구해온 작가 나기라 유 작가와 재일 조선인으로서 일본 사회 내에서 소수자로 낙인 당해야 했던 이상일 감독의 경험을 효과적으로 결합시킨다. 남성 동성애를 판타지로 풀어내는 BL 장르는 ‘남성을 성적으로 대상화한다’는 비난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지만, 동성애를 소수자의 성에 묶어두지 않고 보편적 관계로 다룬다는 가능성 또한 지닌다. 사회가 규정한 가해자와 피해자의 위치에서 벗어나려 노력하는 후미와 사라사의 모습 속에는 사회적 편견으로부터 소수자를 해방시키는 BL 장르의 DNA가 각인되어 있다. 어쩌면 이상일 감독이 이 작품을 영화화하겠다 결정한 것 또한 이 DNA에 이끌렸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남성 게이를 소수자성으로부터 벗어나 자유롭게 그려내었던 나기라 유 작가의 소수자에 대한 시선이 재일 조선인에 대한 사회적 편견으로부터 벗어나 자유를 원했을 이상일 감독의 마음에 가닿은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유랑의 달> 속 인물들에는 재일 조선인에 대한 사회적 편견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했을 이상일 감독의 모습이 반영되어 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분명 보호가 필요한 소수자가 존재하지만, 보호를 거부한 소수자들에게까지 보호를 강요하는 사회의 시선을 우리는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 <유랑의 달>을 통해서 한 번쯤 깊이 고민해 볼 만한 질문이다. <유랑의 달>은 <분노> 이상일 감독이 6년 만에 선보이는 신작이다. <기생충>의 홍경표 촬영감독 그리고 일본을 대표하는 배우 히로세 스즈, 마츠자카 토리까지 함께해 화제가 됐다. 작가 나기라 유의 동명 베스트셀러 소설을 원작으로 한 작품이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