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의 미로 – 오필리아와 세 개의 열쇠>(2006, 이하 <판의 미로>)는 <셰이프 오브 워터: 사랑의 모양>으로 제90회 아카데미 시상식 작품상, 감독상을 거머쥔 기예르모 델 토로 감독의 최고작 중 하나다. 그의 영화 중 가장 처연하고 환상적인 <판의 미로>는 2007년 제79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촬영상, 미술상, 분장상을 받고 제41회 전미영화비평가협회 작품상을 수상하면서 진즉 감독을 21세기 할리우드의 중요한 작가(author) 반열에 올렸다.
데뷔작부터 꾸준히 뱀파이어(<크로노스>), 거대 곤충(<미믹>), 유령(<악마의 등뼈>)을 등장시키며 ‘괴물들이 사는 나라’를 건설하는 데 독보적 재능을 뽐냈던 감독은 <판의 미로>에 이르러 역사적 상흔과 판타지의 뼈아픈 공존을 파고들었다. 아직 이 영화를 보지 않은, 그래서 곧 눈부신 경험하게 될 분들을 무척 부러워하면서, 5월 2일에 재개봉하는 <판의 미로>를 몇 가지 관전 포인트로 정리해봤다.
김소미 | CGV아트하우스 큐레이터
제각기 고유하고 무모한, 영화의 틈새가 궁금하다
기예르모 델 토로 판타지의 정수
내전은 끝났지만, 아직 혼란스러운 분위기가 감도는 1944년의 스페인. 오필리아(이바나 바쿠에로)는 재혼한 엄마 카르멘(아리아드나 길)을 따라 새아버지를 만나러 먼 길을 떠난다. 숲 속 깊은 곳에서 잠시 차를 세운 사이에 소녀는 길 위에 떨어진 비석의 파편을 주워서 원래 자리에 돌려 놓는다. 한쪽 눈을 잃은 상태였던 비석이 마침내 두 눈을 가진 수호신의 형상으로 완성되고, 그 안에서 불쑥 커다란 곤충 한 마리가 튀어나와 마치 요정처럼 소녀 곁을 따라다니기 시작한다.
구불구불한 비포장도로를 달려 오필리아 도착한 곳은 산 밑에 자리한 군대 주둔지다. 생존한 인민군이 숲에 숨어 싸움을 지속 중인 상황에서, 프랑코 정부군은 산 주위에 결계를 치고 잔혹한 소탕 작전을 준비한다. 군 책임자인 오필리아의 새아버지 비달(세르지 로페즈) 대위는 게릴라군으로 몰린 무고한 농민을 맨 손으로 때려 죽이는 것도 마다 않는 지독한 냉혈한이다. 위압적인 아버지의 존재가, 을씨년스러운 산악 지대의 밤이 무섭기만 한 오필리아는 불면의 밤을 보낸다. 이윽고 비밀스레 모습을 드러낸 곤충 요정의 안내와 함께 집 밖을 나선 소녀는 그리 멀리 떨어지지 않은 곳에 미로처럼 설계된 정원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리고 바로 그 곳에서, 나무의 신 ‘판(더그 존스)’을 만난다.
현실과 공명하는 기괴한 모험담
<판의 미로>에는 빛의 세계를 너무나 동경한 나머지 지상으로 도망친 지하왕국의 공주 ‘모안나’ 이야기가 나온다. 그리고 판은 오필리아가 바로 그 모안나라고 속삭인다. 보름달이 뜨기 전까지 오필리아에게 주어진 세 개의 과제를 수행하면, 다시 공주가 되어 안전한 지하왕국의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으리라고 일종의 계시를 내린 것. 이처럼 판타지 장르의 강렬하고 영화적인 매혹으로 관객을 유인한 영화는, 환상의 장막을 서서히 들춰내며 스페인 역사의 상처로 나아간다. 스페인 내전(1936~1939)은 인민전선 내각이 집권하자 프랑코 장군이 군부 반군을 조직해 벌인 비극적인 전쟁이다. <판의 미로>의 배경은 이미 프랑코 정권이 들어선 어느 때로, 힘 없는 시민들을 둘러싼 억압과 공포 정치의 위용이 횡행하는 상태다.
현실이 차가울수록 환상은 격렬해진다고 했던가. 비달 대위의 가정부인 메르세데스(마리벨 베르두)가 게릴라군을 돕기 위해 몰래 대위의 열쇠를 훔치는 서늘한 장면이 있는데, 이는 악몽처럼 끔찍한 경험을 이겨내고 황금열쇠를 손에 넣어야 하는 오필리아의 첫 임무와 짝을 이룬다. 어른들이 피를 흘리며 싸우는 동안, 소녀의 무의식 또한 외부의 파시즘에 강렬히 저항하고 있음을 드러내는 절묘한 연결인 셈.
<판의 미로>는 하나의 슬픔을 두 개의 버전으로 나누어 보여주면서, 두 개의 눈(오프닝 시퀀스의 비석, 손바닥에 눈을 끼운 괴물 등)이미지를 종종 상기시킨다. 비슷한 맥락에서 <판의 미로>를 가득 메우고 있는 동화적 상상력은 그 어떤 것도 단면적이지 않다는 점에서 새삼 중요하다. 아름답고 먹음직스러운 것은 이내 끔찍하고 부패한 것으로 변하고, 신비로운 생명체는 언제든 기괴한 괴물로 모습을 바꿀 수 있다. 이 이중성과 평행성을 기예르모 델 토로 판타지의 섭리라고 불러도 좋겠다.
독보적인 비주얼, 풍성한 상징과 은유
이처럼 시네마틱한 미덕을 중시하면서 현실의 역사적 조각도 허술하게 다르지 않은 작품은 그리 많지 않다. 두 가치의 공존이 <판의 미로>를 진정 더욱 섬세하고, 또 처절하게 만든다. 기원을 거슬러 올라가자면 기예르모 델 토로 감독의 세 번째 장편영화 <악마의 등뼈>(2001)도 이와 비슷했다. 스페인 내전 중 고아원에 들어간 소년이 누군가의 유령을 보게 되면서, 죽은 이의 억울한 죽음을 파헤치고 나아가 대신 복수한다는 이야기다.
<악마의 등뼈>는 10살 소년 카를로스가 앓는 내전의 트라우마를 유령과 영혼의 움직임으로 치환했다. 한편 <판의 미로>에 더욱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 작품으로 스페인의 거장 빅토르 에리세 감독의 <벌집의 정령>도 꼽을 수 있다. 한층 더 깊고 고요한 세계를 지향하는 <벌집의 정령>에는 조용하고 몽상적인 6살 소녀가 나온다. 역시 스페인 내전 직후를 배경으로 하는 이 영화는 소녀가 상상 속 존재였던 프랑켄슈타인 괴물을 만나고, 외딴 곳에 버려진 집에서 다친 게릴라군을 만나는 과정을 비선형적 내러티브로 풀어냈다.
이처럼 고단한 세계의 아이들은 본능적으로 현실을 벗어나려 하고, 지칠 줄 모르는 환상은 점점 더 아름답고 위태로워진다. 그리고 기예르모 델 토로 감독은 많은 예술가들이 매료되었던 이 서사에 자신만의 독보적인 비주얼, 풍성한 상징과 은유를 더해내면서 <판의 미로>를 잊을 수 없는 경험으로 완성시켰다.
마음을 할퀴고 또 어루만지기를 반복하는 이 잔혹 동화에 관해 마지막으로 말하고 싶은 점은, 영화를 다 보고 난 뒤에도 관객 각자의 믿음에 따라 엔딩의 의미가 다르게 파생된다는 사실이다. 한 가지 경우를 미리 말하자면, 나는 아직까지 이 영화만큼 ‘처참한 해피 엔딩’을 또 본 적이 없다.